2011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2011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은 베트남 호치민에서 개최된 대회로, 통녓 경기장과 타인롱 스포츠 센터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. 2009년 대회 상위 5개 팀과 예선을 통과한 베트남을 포함한 6개 팀이 풀 리그 방식으로 본선에 진출하여 일본이 우승을 차지했다. 일본은 2회 연속, 통산 3번째 우승을 달성했으며,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, 중국, 대한민국이 그 뒤를 이었다. 득점왕은 교카와 마이와 윤현히가 공동 수상했으며, MVP는 교카와 마이가, 페어 플레이 트로피는 일본이 받았다. 이 대회 상위 4개 팀은 2012년 FIFA U-20 여자 월드컵 진출 자격을 얻었다.
2011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은 베트남 호찌민시에서 개최되었다. 경기는 통녓 경기장과 타인롱 스포츠 센터에서 진행되었다.[2]
2. 개최 도시 및 경기장
경기장 수용 인원 통녓 경기장 25,000명 타인롱 스포츠 센터 5,000명
2. 1. 경기장
2011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은 베트남 호찌민시에서 개최되었으며, 결선 라운드는 다음 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.[2]
2009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에서 5위 안에 든 일본, 대한민국,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, 중국, 오스트레일리아는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.[1] 예선은 1차 예선과 2차 예선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.
3. 예선
1차 예선은 2009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에서 상위 8위 안에 들지 못한 8개 팀이 참가하여 2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. 필리핀과 방글라데시에서 각각 4개 팀씩 조별 리그를 치렀으며, 각 조 1위 팀이 2차 예선에 진출했다.
2차 예선은 1차 예선 각 조 1위 두 팀과 2009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에서 6~8위를 기록한 중화 타이베이, 타이, 베트남을 포함하여 총 5개 팀이 참가했다. 말레이시아에서 5개 팀이 단일 조별 리그를 치러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.
최종적으로 베트남이 2차 예선을 1위로 통과하여 본선에 합류했다.[1]순위 국가 1 2 3 4 5
3. 1. 본선 자동 진출 팀
3. 2. 예선 통과 팀
(최종 예선 1위)[1]
4. 본선
2011년 AFC U-19 여자 챔피언십 본선은 베트남 호찌민시에서 6개 팀이 참가하여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.
4. 1. 결과
팀 | 경기 | 승 | 무 | 패 | 득 | 실 | 차 | 승점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일본 | 5 | 4 | 1 | 0 | 13 | 3 | +10 | 13 |
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| 5 | 4 | 0 | 1 | 13 | 3 | +10 | 12 |
중국 | 5 | 2 | 2 | 1 | 7 | 8 | -1 | 8 |
대한민국 | 5 | 2 | 1 | 2 | 11 | 9 | +2 | 7 |
오스트레일리아 | 5 | 1 | 0 | 4 | 7 | 12 | -5 | 3 |
베트남 | 5 | 0 | 0 | 5 | 5 | 21 | -16 | 0 |
모든 경기는 베트남 호찌민시에서 개최되었다. (시간대는 UTC+7)
날짜 | 시간 | 팀 1 | 결과 | 팀 2 | 득점 (팀 1) | 득점 (팀 2) | 경기장 | 관중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2011년 10월 6일 | 16:00 | 베트남 | 3 – 4 | 오스트레일리아 | 응우옌티응우옛 (6, 49), 팜호앙꾸인 (37') | 린다 오닐 (4), 에밀리 기엘니크 (60, 62, 73) | 통녓 경기장 | 500명 |
2011년 10월 6일 | 16:00 | 일본 | 1 – 1 | 중국 | 하마다 하루카 (90+3') | 야오솽옌 (29') | 타인롱 스포츠 센터 | 300명 |
2011년 10월 6일 | 19:00 | 대한민국 | 1 – 2 |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| 최미래 (19') | 김조란 (73), 김수경 (81) | 통녓 경기장 | 200명 |
2011년 10월 8일 | 16:00 | 일본 | 3 – 1 | 대한민국 | 교카와 마이 (59), 요코야마 구미 (61), 시바타 하나에 (79') | 김지혜 (85') | 통녓 경기장 | 500명 |
2011년 10월 8일 | 16:00 |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| 1 – 0 | 오스트레일리아 | 권송화 (23') | 타인롱 스포츠 센터 | 200명 | |
2011년 10월 8일 | 19:00 | 중국 | 2 – 1 | 베트남 | 응우옌티흐엉 (43 자책골), 야오솽옌 (47) | 팜호앙꾸인 (35') | 통녓 경기장 | 300명 |
2011년 10월 10일 | 16:00 | 중국 | 1 – 1 | 대한민국 | 니멍제 (10') | 문미라 (61') | 타인롱 스포츠 센터 | 300명 |
2011년 10월 10일 | 16:00 | 오스트레일리아 | 0 – 1 | 일본 | 교카와 마이 (42') | 통녓 경기장 | 200명 | |
2011년 10월 10일 | 19:00 | 베트남 | 0 – 5 |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| 전명화 (17), 김은화 (68), 권송화 (71), 윤현히 (64, 89') | 통녓 경기장 | 200명 | |
2011년 10월 13일 | 16:00 |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| 1 – 2 | 일본 | 윤현히 (74') | 다나카 요코 (30), 교카와 마이 (73) | 타인롱 스포츠 센터 | 200명 |
2011년 10월 13일 | 16:00 | 오스트레일리아 | 1 – 3 | 중국 | 에밀리 밴 에그먼드 (80') | 왕팅팅 (33), 야오솽옌 (66), 니멍제 (82') | 통녓 경기장 | 200명 |
2011년 10월 13일 | 19:00 | 대한민국 | 4 – 1 | 베트남 | 서현숙 (3), 이정은 (45, 55), 장슬기 (88) | 팜티짱 (63') | 통녓 경기장 | 350명 |
2011년 10월 16일 | 16:00 | 오스트레일리아 | 2 – 4 | 대한민국 | 타라 앤드루스 (50), 애슐리 브라운 (82) | 최유정 (28), 이금민 (67, 83), 서현숙 (68) | 타인롱 스포츠 센터 | 200명 |
2011년 10월 16일 | 16:00 | 중국 | 0 – 4 |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| 윤현히 (22, 58), 김은화 (45), 김은주 (66) | 통녓 경기장 | 200명 | |
2011년 10월 16일 | 19:00 | 베트남 | 0 – 6 | 일본 | 교카와 마이 (37, 43), 요코야마 구미 (46, 83, 86), 사이토 아카네 (53 페널티킥) | 통녓 경기장 | 500명 |
4. 2. 경기 기록
팜호앙꾸인에밀리 기엘니크
김수경
요코야마 구미
시바타 하나에
야오솽옌
김은화
권송화
윤현히
교카와 마이
야오솽옌
니멍제
이정은
장슬기
애슐리 브라운
이금민
서현숙
김은화
김은주
요코야마 구미
사이토 아카네